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placehoder
- 오라클
- C언어 변수
- 자바
- Google reCaptcha
- 날짜
- gcc
- C언어 배열
- C언어 메모리
- Spring google
- URL 다운로드
- 구글 reCaptcha
- C언어 함수
- GUI
- SQL
- 텍스트 파일 읽기
- java
- Vim
- C언어 매크로
- C언어
- 역순
- 포인터
- Naver SmartEditor
- Oracle
- Spring email
- jsp
- TCP/IP 소켓
- HTML5
- C언어 구조체
- C언어 파일입출력
- Today
- Total
목록TCP-IP 소켓 프로그래밍 (6)
easy software
때때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. 아무래도 vim이 vim-minimal과 충돌되는 것 같음. 오류가 발생하면 vim-minimal을 제거하고 vim을 설치한 후, 다시 vim-minimal을 설치. 아래의 명령어를 차례대로 입력하고 설치. yum erase vim-minimal yum install vim yum install vim-minimal
제목은 상당히 거창해보이는데, 실제로는 여러분들이 아주 잘 알고 계시는 Hello, World! 를 출력해 보려고 합니다. 실망하지 맙시다. C언어의 코드를 gcc컴파일러로 컴파일 한다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. 그럼 바로 터미널을 실행해 봅시다. 터미널이 실행되면, vi [파일명.c]를 입력해 줍니다. vi는 윈도우의 메모장과 똑같다고 보시면됩니다. 메모장에 코드를 입력해서 gcc가 컴파일 하도록 하는 거죠.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구성됩니다. 이제 i를 눌러서 끼워넣기 모드로 변경 후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! 모두 입력했으면, vi를 저장하고 종료해야 합니다. esc를 누르고 : 입력 후 wq를 입력해 주세요. w 는 저장, q 는 종료를 의미합니다. wq 는 저장 후 종료를 의미하겠..
vim을 사용하다보니까 화면이 하얀색이라서 눈도 아프고 글자도 잘 안보이네요. 그래서 배경색을 바꿔보기로 했습니다. 이전글에서도 소개해 드렸었는데요, vi ~/.vimrc 명령어를 통해 vim 설정파일을 열어주세요. 저는 평소에 어두운 색의 바탕을 좋아하기 때문에 darkblue로 설정했습니다. i를 눌러서 끼워넣기 모드로 변경한 후 syntax on 이라는 명령어 위에 color darkblue 를 작성해주시고 esc를 누른 후 :wq 를 입력합니다. 그런 후 다시 vi ~/.vimrc 를 입력해서 설정창으로 들어가보시면 아래와 같이 배경색이 바뀐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다른 블로그에보시면 다른 색상도 많으니, 마음에 드는 색을 찾아서 설정해 보세요.
답이 딱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, 제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들만 작성해 보겠습니다. 먼저 터미널에서 $ vi ~/.vimrc 를 입력하면 vim 설정 파일이 실행됩니다. 처음엔 아무것도 없을 거에요. 그리고나서 i를 입력하여 '끼워넣기' 모드로 변경해 줍시다. 이후에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. set number " line 표시를 해줍니다. set ai " auto index set si " smart index set cindent " c style index set tabstop=4 " tab을 4칸으로 set ignorecase " 검색시 대소문자 구별하지않음 set hlsearch " 검색시 하이라이트(색상 강조) set expandtab " tab 대신 띄어쓰기로 set background=d..
이전 글에서는 gcc complier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. 이번에는 vim editor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vim을 설치하기 위해서도 root권한을 획득해야 합니다.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줍시다. $ su ($는 자동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su만 입력하면 됩니다) 그리고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해줍시다.(암호는 입력시 보이지 않습니다. 정확하게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인증이 되니 놀라지마세요) 이후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 yum install vim-enhanced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, .vimrc를 설정해주고 파일코딩을 하시면 됩니다. .vimrc 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